728x90
병렬 프로그래밍 하다 보면 => 다수 스레드를 관리하게 됨 => fork(쓰레드 다수 생성) - join(쓰레드 소멸 이후 워크 플로우 메인스레드에서만 관리) 방식을 사용하면 관리에 용이.
mutex가 정말 필요하다면 그냥 메인스레드에서만 접근하고 연산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만 다수 스레드를 사용
쓰레드를 생성하고 소멸하는 과정이 비싸다. 때문에 쓰레드 풀을 만드는 방식을 써왔다. 현재 모던 c++ 표준에서는 이마저도 지원 해준다.
Amdahl's law
프로그파일링을 통해서 자원을 많이 잡아 먹는 부분을 우선적으로 병렬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최적화를 해야 한다.
728x90
'Programming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mplate을 이용한 TypeCast#1 (0) | 2022.03.27 |
---|---|
#define vs typedef (0) | 2022.02.22 |
[인강/코드없는 프로그래밍] 병렬 프로그래밍을 필요한 이유 (0) | 2022.02.21 |
[인강/코드없는 프로그래밍] false sharing (0) | 2022.02.20 |
CustomAllocator] 5단계_StompAllocator_2 (0) | 2022.02.19 |